페이지

2015년 10월 25일 일요일

[Garment] 원단 검사 - 4 Point Inspection Standard 1부

원단의 Defect를 확인 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요?

 그 전에 물론 원단 Defect의 정의 부터 알고 이 Defect가 Garment의 영향을 미치는 범위 안에 들어가는지 아닌지를 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4 Point Inspection Standard는 Apparel Manufacturing Industry 에서 광범위하게 사용이 되고 있는 원단 검사의 한가지 방법입니다. 원단 Defect를 정의 하고, 그 Defect를 숫자로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원단 검사의 기준 이지요.

 대부분 Garment Vendor에서 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이 기준을 접해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기준을 원단 Defect의 교체량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안됩니다. 말씀 드린 것과 같이 이 기준은 Defect를 숫자로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지 그 숫자 자체가 교체량을 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4 Point Inspection Standard가 무엇이고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단 검사는 상당히 중요한 내용이므로 1, 2부로 나누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Defect의 정의
- Major Defect: 고객의 불만족을 야기 하거나 일반적으로 Garment가 2등급*으로 분류 될 만한 Defect
- Minor Defect: Defect의 위치 상 Garment가 2등급*으로 분류 되지 않을 정도의 모든 결함
   (*: Final Inspection에서 Fail이 되어 정상 출고가 불가능한 등급)


2. Defect 크기에 따른 점수 부여


- 점수 부여 시 고려해야 할 점
  • 원단 검사량은 입고량의 최소 10% 이상이 되어야 함
  • 이색은 반드시 원단의 양 사이드와 양 끝 매칭하여 비교
  • Minor Defect는 점수에 포함되지 않음
  • Linear yd** 안에서 Defect Point 4점은 넘길 수 없음 (**: 전폭으로 1yd)
  • Linear yd 에서 다른 Linear yd로의 연속된 Defect는 오직 4점으로 함
  • 모든 홀은 4점으로 함

- 4 Point Inspection form













3. Pass / Fail의 결정
-  합산된 Defect Point를 바탕으로 100 Sqr Yds의 Defect Point를 계산하여 바이어의 기준에 따라 Pass / Fail을 결정합니다.






 위의 정리가 바로 4 Point Inspection Standard 입니다. 3번 Pass/Fail의 결정에서 설명 한 것과 같이 바이어 기준이 예를들어 20 Point per 100 Square Yards 라면, 검사해서 계산한 값이 그 기준을 넘을 경우 그 검사한 원단은 Fail이라는 것입니다. 아래 예를 보시면 이해가 가실 것 입니다.







계산한 값이 21.63 Point per 100 Square Yard 라는 결과가 나왔으니 이 원단은 Fail 입니다. 그런데, 원단 검사가 Fail이 되면 이 원단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원단이 Fail이 되었다면 입고된 원단 중 그 원단 Roll의 Lot No에 해당 되는 모든 Roll은 사용 금지가 됩니다. 최소 10% 이상 검사한 결과이므로 원단 Supplier는 물론 추가 원단 Inspection을 요구 할 수 있지만 추가 비용을 내야 겠지요.

 하지만, 이렇게 바이어의 기준을 넘는 원단 불량은 실제로 발생할 확률은 적습니다. 왜냐하면 원단 Defect의 점수를 4점 이하로 규정 하였고 여러 불리한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입니다. (2. Defect 크기에 따른 점수 부여 참조)

 거기에 위의 예시에서 계산한 값이 19 Point per 100 Square Yard 라면 문제는 더욱 머리가 아파집니다. 이 점수도 불량이 충분히 많은데 사용은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Garment Vendor는 원단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량의 수량을 산출하여 Supplier에게 불량 수량 교체 요청을 하게 됩니다. 여기서 Garment Vendor와 Supplier의 갈등이 시작이 됩니다. 

바로 적정 교체 수량에 대해 서로 주장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죠.

적정 교체 수량은 어떻게 산출이 가능 할까요? 2부에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